문제 설명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밑변의 길이와 높이가 n인 삼각형에서 맨 위 꼭짓점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달팽이 채우기를 진행한 후, 첫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모두 순서대로 합친 새로운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nresult

4 [1,2,9,3,10,8,4,5,6,7]
5 [1,2,12,3,13,11,4,14,15,10,5,6,7,8,9]
6 [1,2,15,3,16,14,4,17,21,13,5,18,19,20,12,6,7,8,9,10,11]

 

 

문제 풀이 

우선 5X5표에서 직각삼각형으로 수를 대입하는 것을 생각해보자 

1)번 표는 5X5 배열에 직삼각형 모양으로 순서대로 숫자를 채워넣은 것이고,

2)번 표는 5X5 배열에 삼각 달팽이 모양으로 숫자를 채워넣은 것이다. 

 

이 두 표를 비교해보면 삼각 달팽이의 규칙성을 찾을 수 있다. 

우선 삼각 달팽이는 아래로, 오른쪽으로, 대각선방향의 3가지 패턴순 이동하면서 숫자를 채워넣는다. 

따라서 우리는 각 패턴이 1번 배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우선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는 원래 배열에서 0행, 3행에 위치해있다. 

즉 이를 확장하면,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행에 위치해있는 것이다. 

 

다음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는 원래 배열에서 1행, 4행에 위치해있다. 

즉 이를 확장하면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행에 위치해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는 원래 배열에서 2행에 위치해있다. 

즉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인 경우이다. 

 

3가지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1번 배열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행은 삼각 달팽이 배열에서 아래 방향으로 숫자를 채워넣는 것과 동일하다. 

1번 배열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행은 삼각 달팽이 배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숫자를 채워넣는 것과 동일하다. 

1번 배열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인 행은 삼각 달팽이 배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숫자를 채워넣는 것과 동일하다. 

 

이를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olution.java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arr =new  int[n][n];
        int[] answer = new int[n*(n+1)/2];
        int y=-1, x=0;
        int num=1;
        for(int i=0 ;i<arr.length; i++){
            for(int j=i;j<n;j++){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 
                if(i%3==0)
                    y++;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else if(i%3==1)
                    x++;
                
                //대각선으로 움직이느 경우
                else{
                    x--; y--;
                }                
                arr[y][x]=num++;
            }
        }
        
        for(int i =0, cnt=0; i<arr.length;i++){
            for(int j=0;j<arr.length;j++){
                if(arr[i][j]!=0){
                    answer[cnt]=arr[i][j];
                    cnt++;
                }
            }
        }
        
        return answer;
    }
}

'프로그래머스 > LEVE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킬트리  (0) 2021.01.31
124 나라의 숫자  (0) 2021.01.31
프린터  (0) 2021.01.31
기능개발  (0) 2021.01.31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2021.01.31

문제 설명

선행 스킬이란 어떤 스킬을 배우기 전에 먼저 배워야 하는 스킬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선행 스킬 순서가 스파크 → 라이트닝 볼트 → 썬더일때, 썬더를 배우려면 먼저 라이트닝 볼트를 배워야 하고, 라이트닝 볼트를 배우려면 먼저 스파크를 배워야 합니다.

위 순서에 없는 다른 스킬(힐링 등)은 순서에 상관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파크 → 힐링 → 라이트닝 볼트 → 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가능하지만, 썬더 → 스파크나 라이트닝 볼트 → 스파크 → 힐링 → 썬더와 같은 스킬트리는 불가능합니다.

선행 스킬 순서 skill과 유저들이 만든 스킬트리1를 담은 배열 skill_tre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능한 스킬트리 개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스킬은 알파벳 대문자로 표기하며, 모든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스킬 순서와 스킬트리는 문자열로 표기합니다.
    • 예를 들어, C → B → D 라면 CBD로 표기합니다
  • 선행 스킬 순서 skill의 길이는 1 이상 26 이하이며, 스킬은 중복해 주어지지 않습니다.
  • skill_trees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배열입니다.
  • skill_trees의 원소는 스킬을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 skill_trees의 원소는 길이가 2 이상 26 이하인 문자열이며, 스킬이 중복해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skillskill_treesreturn

"CBD" ["BACDE", "CBADF", "AECB", "BDA"] 2

입출력 예 설명

  • BACDE: B 스킬을 배우기 전에 C 스킬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 불가능한 스킬트립니다.
  • CBADF: 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 AECB: 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 BDA: B 스킬을 배우기 전에 C 스킬을 먼저 배워야 합니다. 불가능한 스킬트리입니다.

 

Solution.java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kill, String[] skill_trees) {
        int answer = 0;
        ArrayList<Integer> check = new ArrayList<>();
        int index=0;
        for(int i=0;i<skill_trees.length;i++){
            for(int j=0; j<skill_trees[i].length();j++){
                if(skill.indexOf(skill_trees[i].charAt(j))>=0){
                    check.add(skill.indexOf(skill_trees[i].charAt(j)));
                }
            }
            for(Integer a : check){
                if (a==index)
                    index++;
            }
            if(index==check.size())
                answer++;
            check.clear();
            index=0;
        }
        
        return answer;
    }
}

우선 skill_trees의 각 문자열에 skill의 문자가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확인하여 check ArrayList에 추가했다.
그리고 check 리스트가 0,1,2순으로 증가하는지 확인한다. 
0,1,2,순으로 증가했다면 answer의 수를 증가시키고 check리스트와 index를 초기화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정규식을 이용하면 더욱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kill, String[] skill_trees) {
        int answer = 0;

        for(String st : skill_trees){
            String check=st.replaceAll("[^"+skill+"]","");
            if (skill.indexOf(check)==0)
                answer++;
        }
        return answer;
    }

이 풀이에서는 skill_trees의 각 문자열에서 skill의 문자를 제외하고 모두 삭제한다. 
이 문자열이 skill 문자열에서 몇 번째 인덱스에 위치하는 지 검색한다. 
0번째 인덱스에 있다면 스킬순서로 스킬트리를 작성한 것이므로 answer의 값을 증가한다. 

'프로그래머스 > LEVE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 달팽이  (0) 2021.01.31
124 나라의 숫자  (0) 2021.01.31
프린터  (0) 2021.01.31
기능개발  (0) 2021.01.31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2021.01.31

문제 설명

124 나라가 있습니다. 124 나라에서는 10진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규칙으로 수를 표현합니다.

  1. 124 나라에는 자연수만 존재합니다.
  2. 124 나라에는 모든 수를 표현할 때 1, 2, 4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변환됩니다.

10진법124 나라10진법124 나라

1 1 6 14
2 2 7 21
3 4 8 22
4 11 9 24
5 12 10 41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을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로 바꾼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n은 500,000,000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입출력 예

nresult

1 1
2 2
3 4
4 11

 

Solution.java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
        long result=0;
        while(n!=0){
            if(n%3!=0){
            result = (long)(result*10) + n%3;
            n/=3;
            }
            else {
                result=(long)(result*10) + 4;
                n=n/3-1;
            }
        }
        StringBuilder answer = new StringBuilder(Long.toString(result));
        return answer.reverse().toString();
    }
}

 

코드 설명 

이 문제는 규칙성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3의 배수를 제외한 숫자는 3진법으로 나타낸다. 

3의 배수인 경우에는 몫에 1을 빼고, 나머지를 4를 더한다.
만약 몫에 1을 뺀 값이 3의 배수가 아니라면 다시 3진법으로 나타내고, 몫이 3의 매수인 경우에는 이 과정을 반복한다.

단 이떄 result값은 3진법을 뒤집은 값이 대입되므로, reverse메소드를 통해 뒤집어야한다. 

'프로그래머스 > LEVE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 달팽이  (0) 2021.01.31
스킬트리  (0) 2021.01.31
프린터  (0) 2021.01.31
기능개발  (0) 2021.01.31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2021.01.31

문제 설명

일반적인 프린터는 인쇄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인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문서가 나중에 인쇄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가 높은 문서를 먼저 인쇄하는 프린터를 개발했습니다. 이 새롭게 개발한 프린터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예를 들어, 4개의 문서(A, B, C, D)가 순서대로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2 1 3 2 라면 C D A B 순으로 인쇄하게 됩니다.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위의 예에서 C는 1번째로, A는 3번째로 인쇄됩니다.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가 순서대로 담긴 배열 priorities와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현재 대기목록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loc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내가 인쇄를 요청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현재 대기목록에는 1개 이상 100개 이하의 문서가 있습니다.
  • 인쇄 작업의 중요도는 1~9로 표현하며 숫자가 클수록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 location은 0 이상 (현재 대기목록에 있는 작업 수 -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으면 0, 두 번째에 있으면 1로 표현합니다.

입출력 예

prioritieslocationreturn

[2, 1, 3, 2] 2 1
[1, 1, 9, 1, 1, 1] 0 5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

예제 #2

6개의 문서(A, B, C, D, E, F)가 인쇄 대기목록에 있고 중요도가 1 1 9 1 1 1 이므로 C D E F A B 순으로 인쇄합니다.

 

Solution.java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iorities, int location) {
        int answer = 0;
        ArrayList<Integer> queue= new ArrayList<>();
        for(int a : priorities)
            queue.add(a);
        
        while(true){
            //프린트를 하는 경우 
            if(MaxIndex(queue)==0){
                answer++;
                if(location==MaxIndex(queue))
                    break;
            queue.remove(0);
            location=nextIndex(queue.size(), location);
            }
            //프린트를 안하는 경우 
            else{
                location=nextIndex(queue.size(), location);
                queue.add(queue.get(0));
                queue.remove(0);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int MaxIndex(ArrayList<Integer> priorities){
        int max=0;
        for(int i=1; i<priorities.size();i++){
            if(priorities.get(max)<priorities.get(i)){
                max=i;
            }
        }
        return max;
    }
    public static int nextIndex(int size, int location){
        if(location==0)
            location=size-1;
        else location--;
        return location;
    }
}

코드소개 

우선 프린트를 하는 경우와 프린트를 안하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프린트를 하는 경우는 우선순위가 가장 큰 요소가 0번째 인덱스에 있는 경우이다.

이때 인쇄되는 문서의 수(answer의 값)를 증가시키고 해당 문서를 큐에서 삭제하고 다음 인덱스를 가리키도록 한다. 

이때 프린트를 하는 문서가 타겟 문서였다면 반복문에서 빠져나온다. 

 

프리린크를 하지 않는 경우는 우선순위가 낮은 요소가 0번째 인덱스에 있는 경우이다. 

이경우 0번째 인덱스를 큐의 끝에 넣고 다음 인덱스를 가리키도록한다. 

 

 

어려웠던 점
1. 반복문의 중단점 정하기 
처음에 location과 MaxIndex 함수를 잘못 구현해서 
계속 무한 루프에 빠지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2. MaxIndex, location 구하기 
priorities 배열을 ArrayList로 바꿨기 때문에 
MaxIndex와 locaion을 모두 ArrayList로 구해야한다. 

'프로그래머스 > LEVEL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킬트리  (0) 2021.01.31
124 나라의 숫자  (0) 2021.01.31
기능개발  (0) 2021.01.31
다리를 지나는 트럭  (0) 2021.01.31
주식 가격  (0) 2021.01.31

+ Recent posts